젠킨스

젠킨스 xcode 연동하기

민트소프트 2014. 12. 15. 14:07

jenkins에 xcode plugin을 연동시키는 작업입니다.
맥사용자만 가능합니다.

cocoapods를 사용해서 하는 예제입니다. 
따라서 맥에 루비와 cocoapods 가 꼭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jenkins 홈에서 pod setup을 꼭해주셔야됩니다.



1.jenkins를 설치한다.
맥에서 jenkins를 설치하는 두가지 방법

(1).tomcat에서 직접 war를 올린다.
(2).homebrew를 이용해서 설치한다.

두번재 방법이 편하고 좋다.
(업그레이드 할때도 설치파일만 재설치하면 된다.tomcat에다가도 war만 올리면 되니까 쉽다.)
취향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2.https://wiki.jenkins-ci.org/display/JENKINS/Xcode+Plugin 을 설치한다.
젠킨스관리->플러그인 관리->설치가능 목록에서 검색해서 설치

3.xcode path를 맞춰준다.





4.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git,svn,cvs등 소스 연동까지 끝낸다.
git이 잘 안될때는 sudo su jenkins로 들어가서 ssh-keygen을 꼭해준다.
git호스팅에 ssh-key도 꼭 등록한다.


5.xcode부분을 수정한다. 



5.1 Setting을 열어서 편집한다.


Pack application and build .ipa를 체크한다.
ipa 파일 패턴을 정해준다.


5.2



가장 많은 삽질을 했던 부분.

맥에서는 키체인이라는걸 만들수 있다.
키체인에 등록된 키와 인증서 등을 이용할수 있다.

A. 애플 개발자 계정에서 인증서를 만든다.(만드는 방법은 다른 사이트에서 친절히 설명 많이 해놨음.)

B. 젠킨스가 설치된 맥에 젠킨스가 사용할수 있는 키체인을 만들어준다.





C. jenkins의 홈디렉터리로 이동시킨다.
${HOME}/Library/Keychains/jenkins.keychain

D.jenkins.keychain에 인증서를 등록해준다.




여기까지 하면 키체인 등록이 끝난다.


그다음 advance setting은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면 된다.




cocoapods를 사용하기 때문에 workspace file을 정해줍니다.
xcode build전에 execute shell을 하나 만들어서 pod install을 해줍니다.
ascii 에러가 계속 떠서 export를 해줬는데 급하게 하다보니까 아직 수정을 못했습니다.
환경설정에 넣으시면 될것 같네요.






이상 설정을 모두 마쳣습니다. 

삽질은 2일 동안 햇는데 글로 적으니 얼마 없네요 ㅋ

안되시는 분은 댓글 남겨주세요 

트러블 슈팅으로 계속 업데이트 할게요